임신/임신과 관련된 정보 (5) 썸네일형 리스트형 [BABY] 가와사키병? 안녕하세요! 봄봄맘입니다.이번에는 무서운 질환 중 하나인 가와사키병에 대해 가져왔습니다ㅠ 모두 조심조심하시길 바라며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주로 5세 이하의 소아에게 발생하는 원인 불명의 급성 열성 혈관염입니다. 이 질환은 전신의 중소 혈관에 염증을 일으키며,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심혈관 합병증(특히 관상동맥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주요 증상가와사키병은 다음과 같은 5가지 주요 증상을 동반하며, 5일 이상 지속되는 발열이 특징입니다.1. 발열: 5일 이상 고열이 지속됩니다.2. 결막 충혈: 양쪽 눈의 결막에 충혈이 발생하지만, 삼출물(눈곱)은 없습니다.3. 입과 입술의 변화: 입술이 붉고 갈라지며 혀가 붉게 부어오르는 딸기혀(strawberry tongue)가 나타납니다.4. 손발의 .. [BABY] 아기 소고기 언제부터? 권장량? 왜? 안녕하세요봄봄맘입니다~이번에는 소고기 관련 정보를 들고왔어요!아기에게 소고기가 필수인 이유소고기는 아기에게 필수적인 여러 영양소를 제공하는 중요한 식재료입니다. 특히 이유식 단계에서 소고기를 도입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1. 철분 보충생후 6개월 이후 아기의 체내 철분 저장량이 줄어들기 시작하며, 음식으로 철분을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소고기는 헴철(체내 흡수율이 높은 형태의 철분)이 풍부하여 아기의 철분 결핍성 빈혈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2. 단백질 공급아기의 성장과 신체 발달에 필요한 고품질 단백질을 제공합니다. 소고기의 단백질은 근육, 피부, 장기 및 면역 체계의 발달에 필수적입니다.3. 아연 공급소고기는 아연이 풍부한 식품으로, 면역력 강화와 세포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연은 특.. [BABY] 아기 사과 언제부터? 얼마나? 안녕하세요.봄봄맘입니다!아기 사과 언제부터 먹일 수 있나요?사과를 주는 시기는 보통 생후 6개월 이후 이유식을 시작할 때부터 가능합니다!1. 생후 6~12개월 (익힌 사과)사과를 껍질과 씨를 제거한 뒤 찌거나 삶아 부드럽게 만들어 주세요.으깨거나 퓌레로 만들어 숟가락으로 먹일 수 있습니다.2. 돌 이후 (12개월 이상, 생사과 가능!) 돌 이후에는 사과를 익히지 않아도 소화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 껍질과 씨를 제거한 뒤 작은 조각으로 자르거나 강판에 갈아 줍니다.딱딱한 생사과는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얇게 썰거나 강판에 갈아주는 것이 안전합니다.주의사항1. 알레르기 반응 확인: 처음 사과를 줄 때는 하루 동안 관찰하며 피부 발진, 설사, 구토 등의 반응이 없는지 확인하세요.2. 소화 문제 주의:.. [2023 출산] 출산 후 혜택 1. 첫만남이용권(22.1.1~) 국민행복카드에 출산시 최초 1회! 200만원의 바우처 포인트를 지급 (쌍둥이는 400만원) 방문신청: 아동의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출생신고 시 출산서비스 통합처리 신청서로 신청가능) 온라인 신청: 복지로, 정부24 사용기간: 아동 출생이로부터 1년까지 사용가능. 2. 부모급여 (영아수당) 23년 기준 만0세아동은 월70만원, 만1세아동은 월 35만원 지급. 24년 기준 만0세아동은 월 100만원, 만1세아동은 월50만원 *종일제 아이 돌봄 서비스 대상자는 제외 3. 가정 양육수당 대상: 어린이집, 유치원, 종일제 아이 돌봄 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되는 영유아로 2022년 이전 출생아동. 가정양육시 최대 86개월까지 월10만원 양육수당지급. 어.. [임산부] 비타민D 부족/ 비타민D 효능/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 임산부에게 미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봄봄맘입니다! 1차 혈액검사에서 비타민D가 굉장히 낮게 나왔어요. 그래서 매일 엽산과 같이 약을 먹어야 하는데 약국에서 처방해주신 약을 다 먹을 때까지 먹어야 한대요 ㅠㅠ 이렇게 먹게된 비타민D에 대해서 말씀드려 볼게요! 비타민D 검사? 효능? 뼈의 형성과 유지에 필요하며, 골다공증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영양소입니다. 주로 햇볕을 쬐면 피부에서 합성되지만, 실내활동 증가, 선크림을 과다하게 바르는 경우가 많아 현대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입니다. 혈액 검사 한 번으로 결핍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요! 보건소에서 했던 산후검사(산전검사) 결과지에는 안 나왔는데 병원에서 한 혈액검사에서 알 수 있었어요! 검사 시기 임신 전, 임신 초기의 혈액 검사 (6주~10주) 임신 중 기형아 .. 이전 1 다음